D - 46 servlet 시작
SERVLET
데이터베이스 sql이 끝나고 간만에 이클립스로 돌아왔다.
servlet이란 간단히 말해 자바 기반의 웹 어플리케이션 기술이다.
그렇기에 작업을 eclipse에서 한다.
우선 survlet만을 위한 workspace를 먼저 새로 만들었다.
file - switch workspace로 새로운 workspace를 만드는데 이때,
copy settings에서 preferences를 체크하면, 현재 workspace에서 세팅해놓은 폰트, 인코딩타입, 외부브라우저세팅, css, html, jsp파일에 대한 인코딩타입 까지 모든 세팅이 똑같이 옮겨가니 꼭 체크하도록하자.
새로운 workspace에 dynamic web project를 만든다.
이름은 04로 했고 바로 finish를 누르지 않고
next를 통해 끝까지 가면 위와같은 창이 나온다.
여기서 꼭 web.xml을 생성하라는 체크박스를 체크하고 끝내줘야 자동생성이 되어있으니 꼭 체크하자.
이렇게 생성하면, WebContent라는 폴더 하위에, WEB-INF 하위에 web.xml이 생성되어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다음 톰캣 인스톨러를 설치한다.
전에 받은 톰캣 8.5버전과 같은 화면이다.
여기서 전과는 달리 인스톨러를 다운받는다. (exe파일 하나가 다운된다)
next를 누르다 보면,
위와같은 창이 떳을때가 제일 중요하다.
커서가 올려져있는곳 폰트가 8080으로 되어있을텐데 이렇게 하면 또 포트충돌이 발생하니 8090으로 설정하고 마무리했다.
설치가 끝나고나서 로컬호스트에 8090포트로 들어가보면 톰캣이 실행중임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까지 하고 예제코드를 입력했다.
자바리소스 밑 src에 controller라는 패키지를 만들고 그 안에 Main이라는 이름의 클래스를 만들었다.
모든 시작은 hello world..
기본적으로 HttpServlet 클래스를 상속받고, init(), service(), destroy()메서드를 오버라이딩한다.
호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콘솔에 프린트하는 코드를 입력해두었다.
여기까지 하고 실행해보면 크롬 브라우저에 (필자는 브라우저 세팅을 외부 크롬 브라우저로 설정해놓았다.) h1태그로 감싸진 hello world와 안녕 세상이 출력되어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때 톰캣서버를 선택했을 때 servers라는 항목이 자동으로 생기게된다